쌍용교육센터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며 기록하는 글이고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이나 피드백 및 생각 공유는 언제든 환영입니다.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일괄 처리를 할 때에는 for문을 사용하면 좋다.
for(int i = 0; i < 배열명.length; i++){
// 배열명[i]을 사용한다.
}
선언과 생성을 같이 하는 방법은 데이터형[ ] 배열명 = new 데이터형[방의 개수]이다.
기본형 형식의 선언과 생성
데이터형[ ] 배열명 = new 데이터형[ ] {값1, 값2,,,,};
여기서 new 데이터형[ ]은 선언과 생성을 같이 하면 생략 가능하다.
int[] arr = {10, 20, 30, 40};
2차원 배열
행, 열로 구성된 배열
행의 수 : 배열명.length
열의 수 : 배열명[행의 번호].length
작성법)
1. 선언)
데이터형[][] 배열명 = null;
int[][] arr = null;
2.생성 : 모든 방의 값은 초기화
배열명 = new 데이터형[행의 수][열의 수];
arr = new int[2][3];
3. 값 할당)
배열명[행의 번호][열의 번호] = 값;
arr[0][0] = 10;
arr[1][1] = 20;
4. 값 사용)
배열명[행의 번호][열의 번호]
arr[0][0]을 사용하면 값 10이 나온다.
일괄처리
for(int i = 0; i < 배열명.length; i++){//행
for(int j = 0; j < 배열명[i].length; j++){//열
배열명[i][j]
}
}
이차원 배열의 초기화(기본형 형식의 사용)
문법)
데이터형[][] 배열명 = new 데이터형[][] { {값 ,,}, {값 ,,}, {값,,},,};
괄호 안의 괄호는 행 구분 괄호라고 한다.
int[][] arr = { {10, 20, 30}, {40, 50, 60} };//2행 3열 배열
배우고 느낀 점
배열에 대해 다뤄보면서 같은 데이터형의 데이터를
변수에 많이 넣어서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좋은 거 같다.
같은 데이터형 말고 다양한 데이터형을 담을 수 있는 참조형 변수도
배열로 할 수 있는 것으로 아는 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배우겠지만
미리 알아보고 공부해야겠다.
'성장 일기 > 쌍용교육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1/상속 (0) | 2022.12.21 |
---|---|
1220/배열 (0) | 2022.12.20 |
1216/String (0) | 2022.12.16 |
1215/클래스, 생성자 (0) | 2022.12.15 |
1214/메서드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