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일기/쌍용교육센터 / / 2022. 12. 14. 09:00

1214/메서드

쌍용교육센터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며 기록하는 글이고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이나 피드백 및 생각 공유는 언제든 환영입니다.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method

  1. 결과가 있는 일(결과 있음) : 반환 값 있음, 호출하는 쪽에서 처리된 결과를 받아서 사용
  2. 결과가 없는 일() : 반환값 없음, 호출하는 쪽에서 처리 결과를 받을 수 없다.

 

Java API Document 생성

  • javadoc.exe 사용
  • 클래스의 접근 지정자가 public인 클래스만 생성
  • 소스코드에 Java DOC 주석이 정의된 내용으로 API문서 생성
  • 사용법 : DOS창에서 source file이 보이는 위치에서 javadoc -d . 소스파일명.java

 

값을 가지는 클래스가 값을 외부에서 설정하게 만들면

>> 잘못된 값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사용하는 쪽(외부)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 해결 : 값을 외부에서 직접 설정하지 못하도록 만들고, method를 통해서 유효성 검증 후

              값을 설정하도록 만들면 된다. => setter method

 

Setter method

  • 객체가 가지고 있는 member(instance) 변수에 값을 설정하는 method
  • set을 접두어로 사용하고 변수명을 붙여서 만든다.
  • int age; => setAge
  • 작성법 
 public void setAge(int age){
 this.age = age; //stack의 값을 heap에 할당한다.
 }
 //this.age : heap에 있는 age변수(heap)
 //age = parameter로 들어온 age변수(stack)

 

Getter method

  • 객체가 가지고 있는 member(instance) 변수에 값을 얻는 method
  • get을 접두어로 사용하고 변수명을 붙여서 만든다.
  • int age => getAge
  • 작성법
 public int getAge(){
 return age; 
 }

 

method 객체 사용 순서

  1. 대상선정
  2. 추상화
  3. class 작성
  4. 객체 생성
  5. 기능 사용

 

배우고 느낀점

객체가 가지고 있는 인스턴스 변수에 넣고 값을 가지고 오는

setter, getter 메서드를 배웠고 메소드 호출로 인해

메서드와 스텍, 힙의 메모리 사용에 대해 배웠다.

setter로 가져오면 private로 설정되어있기에 확실히

인스턴스 변수가 안전하다는 점에서 좋은 거 같다.

그리고 메모리에서 스텍과 힙에 저장되는 시스템을 점점 알아가는 거 같다. 

소스 코드를 공부할 때 메모리 사용을 생각하는 쪽으로 공부를 해야겠다.

 

 

 

 

 

 

 

'성장 일기 > 쌍용교육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6/String  (0) 2022.12.16
1215/클래스, 생성자  (0) 2022.12.15
1213/객체지향  (0) 2022.12.12
1212/변수, 메서드  (0) 2022.12.12
1209/반복문  (0) 2022.12.12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