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 2023. 6. 15. 15:11

Spring Boot 기초 설정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며 기록하는 글이고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이나 피드백 및 생각 공유는 언제든 환영입니다.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Spring boot 파일을 다운 받기 위해 

start.spring.io로 들어가서 설정을 했습니다.

 

프로젝트에서는 Gradle-Groovy
언어는 자바
스프링 부트 버전은  3.1.0
테스트용으로 그룹은 hello Artifact는 hello-spring으로 설정했고
웹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ADD DEPENDENCIES.. 버튼을 눌러서 geberate로 가져왔습니다.

 

압축 파일을 풀어서 C드라이브에 study 폴더를 만들었습니다.

 

개발 도구는 원래는 이클립스를 사용했으나 인텔리제이를 사용해 보고 싶어서 

사용하다 보니 가독성이나 자동 완성 등 여러 퍼포먼스 적으로 인텔리제이가 끌려서

개발 도구는 인텔리 제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버전은 2022년 2월 버전을 사용합니다.

 

 

저는 기존에 자바 버전을 11로 쓰고 있어서 이렇게 다운을 받고

인텔리제이에서 다운받은 소스 코드를 open을 하니 grandle에서 여러 오류가 떴었지만

찾아 본 결과 스프링 부트 버전 3.0 이상은 자바 버전을 17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래의 사이트에서 zip파일의 jdk17을 다운 받고 

https://github.com/ojdkbuild/ojdkbuild

 

GitHub - ojdkbuild/ojdkbuild: Community builds using source code from OpenJDK project

Community builds using source code from OpenJDK project - GitHub - ojdkbuild/ojdkbuild: Community builds using source code from OpenJDK project

github.com

 

C드라이브 안의 Program File에 압축을 풀고

JAVA_HOME의 변수 이름으로 환경 변수를 설정해 줍니다.

 

그 후 변수 이름 CLASSPATH에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변수 값을 설정합니다.

 

그리고 변수 이름 Path에 들어가서 %JAVA_HOME%bin을 추가합니다.

저는 기존에 맨 아래에 있는 11버전을 사용했었는데 기존에 사용했던 버전을

아래로 내리면 현재 버전은 위부터 인식하기 때문에

나중에 11버전을 사용하게 될 수도 있기에 삭제를 안하고 아래로 내리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텔리제이로 가서 File-Project Structure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적용합니다.

 

또 File-Setting에 들어가서 gradle을 검색한 후

아래와 같이 JVM이 17로 잘 되어 있나 확인하고 위의 run 설정란에

2가지를 grandle을 IntelliJ IDEA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다시 처음부터 다운을 받아서 study 파일안의 소스 코드를 삭제 후

압축을 풀고 넣고 인텔리 제이를 들어가 open을 하면 grandle에서 오류 없이 다운됩니다.

 

그리고 메인 코드로 가서 실행시켜 잘 작동 되는 지 테스트를 합니다.

 

성공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에러 페이지가 나옵니다.

 

스프링 부트를 종료하거나 실패하게 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올 겁니다.

 

기존의 이클립스 사용과 Spring legacy project, mybatis, maven 등을 사용했으나 

자기 개발을 하기 위해 인텔리제이, Spring Boot, jpa, grandle 등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라이브러리 및 Controller 실행 확인  (0) 2023.06.15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