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교육센터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며 기록하는 글이고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이나 피드백 및 생각 공유는 언제든 환영입니다.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내용에 대한 소스 코드는 https://github.com/2jaehoon/sangyongSpring에 올려두었습니다.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 XML)
- 화면 일부분을 갱신하여 보여줄 때
* Spring MVC에서 AJAX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동작되는 형태
* Spring MVC에서 AJAX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다른 코드와 함께 동작되는 형태
@ResponseBody 사용
- 응답 JSP 없이 Controller에서 발생한 데이터가 접속자에게 그대로 출력된다.
- JSP 파일을 만들 필요가 없다.
- @ReSponseBody를 Controller의 요청 메서드 위에 정의
- 응답되는 한글이 깨지면 @RequestMapping에
produces="application/json:charset=UTF-8"를 설정하면 한글이 깨지지 않는다.
* async
예외 처리 ( @ExceptionHandler 사용 )
- Controller의 요청 처리 메서드에서 throws로 예외를 던지면 DispatherServlet에서 예외를
잡아 처리한다. => 개발자는 예외가 발생한 이후에 페이지를 지정할 수 없다.
- 예외 처리 method
1. @ExceptionHandler(예외처리 클래스.class)를 method 위에 선언
2. method의 매개 변수로 예외처리 클래스를 선언한다.
3. method 안에서 예외가 발생 했을 때 처리 코드를 기술한다.
4. ModelAndView를 리턴하여 예외처리 객체와 예외 발생시 응답할 페이지를
설정하여 반환한다.
- 요청처리 method가 달라도 같은 예외가 발생되면
하나의 ExceptionHandler method에서 처리된다.
'성장 일기 > 쌍용교육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15/DI, 의존성 주입 종류 (0) | 2023.05.15 |
---|---|
0512/Spring, 강결합, 약결합 (1) | 2023.05.15 |
0510/include, session, cookie, fileUpLoad (0) | 2023.05.10 |
0509/Controller에서 View로 데이터 전송 (0) | 2023.05.09 |
0508/Spring MVC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