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일기/쌍용교육센터 / / 2023. 5. 2. 09:21

0429/MVC 패턴

쌍용교육센터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며 기록하는 글이고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이나 피드백 및 생각 공유는 언제든 환영입니다.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내용에 대한 소스 코드는 https://github.com/2jaehoon/sangyoungMVC에 올려두었습니다.

 

Model1방식의 개발

  - JSP : 화면 구현, 데이터 처리, 업무 로직 처리
  - JSP+class :
    JSP : 화면 구현, 업무 로직 처리
    class : 데이터 처리
    장점 : 파일 개수가 적다. (파일 관리가 편하다.)
              값 넘기기가 편하다.
              에러 잡기 편하다. => 산출물을 만드는 속도가 빠르다.
    단점 : 유지 보수가 어렵다. (업무가 다른 작업이 하나의 JSP에 정의)

 

Model2(MVC2) 방식의 개발

  - MVC 패턴을 Web에 적용한 개발 pattern
    Model : 데이터 처리( DB작업 ) - 일반 class
    View :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작업 - JSP
    Controller : 업무 로직 처리 - Servlet
  - 장점 : 유지보수가 향상된다.
              (업무에 따라 파일이 분리되어 작성된다.)
  - 단점 : 파일의 개수가 많아진다. (파일관리가 어렵다.)
               값 넘기기가 불편하다.
               에러 잡기가 불편하다. =>산출물을 만드는 속도가 다소 느리다.

  - 대규모 시스템에 적합한 구조(업무별로 나눠 작업하기 좋다.)

 

Software의 생명이 끝나는 때

  - 더 이상 유지보수가 되지 않을 때

  - 개발 비용이 유지 보수 비용보다 적을 때

 

MVC 구조

* Model( class )

  - DB 작업 처리
  - DAO, VO를 사용하여 DB 작업 수행


* View ( JSP )

  - 업무 로직을 처리한 결과를 Action이 반환하면 화면을 만들고 응답하는 일


* Controller( Servlet )

  - Action을 사용하여 업무 처리 결과를 받고 JSP로 이동하는 일(진입점)

  - Action 클래스 작성 : Web Parameter 처리, 관계 유지 처리, View 페이지 설정

  -Service( Process ) 클래스 작성 : 업무 로직 처리

 




'성장 일기 > 쌍용교육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02/MVC 패턴  (0) 2023.05.02
0501/MVC 패턴  (0) 2023.05.02
0428/Cookie, Servlet DD 설정  (0) 2023.05.02
0427/페이지 이동, 관계 유지  (0) 2023.05.02
0426/XML 파싱, Serlvet  (0) 2023.05.01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