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일기/쌍용교육센터 / / 2022. 12. 11. 17:24

1202/변수

쌍용교육센터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며 기록하는 글이고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이나 피드백 및 생각 공유는 언제든 환영입니다.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자바 표준 출력

  • console 출력
  • debug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 표준 출력 method
  • System.out.print();     모든 버전의 JDK에서 사용 가능
  • System.out.println();     모든 버전의 JDK에서 사용 가능
  • System.out.printf();     JDK 1.5 이상 버전에서 사용 가능
  • System.out.format();     JDK 1.5 이상 버전에서 사용 가능

 

주석(Comment)

  • 컴파일러가 해석하지 않는다.(주석 안에서 error X)
  • 개발자가 코드에 부연 설명을 붙일 떄 사용한다
  • 에러를 일시적으로 막을 때 사용한다.
  • 3가지의 주석을 제공

 

주석의 종류

  • 한 줄 주석 : 뒤부터 한 줄이 주석의 영역
  • 여러 줄 주석 : /* 에서부터 다음 */ 까지가 주석의 영역
  • Java Doc 주석 : /** Java API문서를 만들 때 사용 */

 

변수(variable)

  • 변하는 수
  •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값을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 후 필요한 곳에서 사용하기 위해 작성
  • 가독성 향상(값에 대해 별명을 부여하기 때문에)
  • 데이터 형을 사용하여 선언
  • instance variable, static variable, local variable 3가지를 제공
  • 선언하는 영역에 따라 구분된다.
  • 변수는 선언 > 값 할당 > 값 사용의 순서로 사용된다.

 

지역 변수(Local Variable)

  • method 안에서 선언되고, 사용되는 변수(method 밖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 모든 데이터 형을 사용하여 선언할 수 있다.
  • 자동 초기화가 되지 않는다.(초기화 되지 않은 변수를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 선언된 변수는 상수 값을 저장(literal의 값을 stack에 저장)

 

변수 사용 순서

  1. 선언 : 데이터 형에 일치하는 값을 저장할 공간에 이름을 붙여 만드는 것
  2. 값 할당 : 선언된 공간에 사용할 값을 넣는 것
  3. 값 사용 : 출력, 연산 참여, 다른 변수에 재할당

 

변수의 초기화 : 선언할 떄 값 할당하는 것 ex. int i = 0;

 

데이터 형(Data type)

  • 값을 저장하기 위해 종류별로 미리 예약해둔 메모리 공간
  •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
  • 기본형, 참조형으로 구분
  • 기본형은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형
  • 참조형은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 형

 

literal : 상수가 저장되는 메모리 공간

 

기본형 데이터형(Primitive type) : 변수에 literal의 값을 직접 저장하는 데이터 형

값 종류 데이터형 명 크기(byte) 범위(range) 사용 예
  byte 1 -2의7승~2의7승-1 byte b = 10;
short 2 -2의16승~2의16승-1 short s = 10;
int 4 -2의31승~2의31승-1 int  i = 10;
long 8 -2의63승~2의63승-1 long l = 10L;
문자 char 4 '로 묶여진 유니코드 값 char c = 'a';
실수 float 4 유효연산 7자리 float f = 3.14f;
double 8 유효연산 15자리 double d = 3.14;
불린 boolean 1 true, false 저장 boolean b = true;

 

형 명시 : literal의 크기를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것

 

정수

  • 정수 literal은 4byte가 기본 크기
  • l을 정수 상수 뒤에 붙여 리터럴의 크기를 8byte로 변경할 수 있다.
  • 정수 상수 값이 int의 범위라면 생략 가능하다

 

실수

  • 실수 literal은 8byte가 기본 크기
  • f를 실수 상수 뒤에 붙여 리터럴의 크기를 4byte로 변경할 수 있다.

 

charset(문자 집합)

  • 8bit 문자 집합 => 한글이 없다.(ASCll code)
  • 16bit 문자 집합 => 한글이 있다.(Unicode)

값 비교용

 0         9         A         Z         a        z

48       57       65       90       97     122

 

 

'성장 일기 > 쌍용교육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8/조건문, 반복문  (0) 2022.12.12
1207/소스코드 동작, 이클립스 개요  (0) 2022.12.12
1206/연산자  (0) 2022.12.12
1205/연산자  (0) 2022.12.12
1201/환경 설정  (0) 2022.12.04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